Search
Duplicate
🔥

클라우드 분야 실무자를 위한 꿀팁 2편

CloudONE팀의 Back-end(백엔드) 개발자 DevOps(데브옵스) 엔지니어가 함께
클라우드 실무자들의 고민 해결을 위해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1편을 안보셨다면? 바로가기
2편에서는 클라우드 사용의 힘든 점, 극혐 인프라 환경, 레거시 시스템 엔지니어의 사멸 여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거시 시스템 엔지니어의 사멸?”

데브옵스 엔지니어 이근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레거시 시스템 엔지니어라는 게 사실 IDC나 아니면 그곳에 들어가는 물리 서버까지 관리하는 업무를 포함한 그런 엔지니어라고 생각을 해요. 그리고 더군다나 최근 기업들을 살펴보면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하는 기업들이 워낙 많은데 그렇게 됐을 때에 이런 레거시 시스템 엔지니어의 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 부정할 수 없다고 봅니다.

“현업에서 겪었던 가장 무지막지한 인프라 환경은?”

데브옵스 엔지니어 이근제) 개인적으로 몇 개 생각나는 것은 이제 리소스관리에 실패한 추적에 실패한 그런 조직이었죠. 물어보면 이제 어디에 리소스가 있는지 모르더라고요. 아니면 이제 리소스는 찾았긴 찾았는데

“클라우드 운영 중 가장 힘들었던(가장 짜증 나는 업무) 에피소드는?”

데브옵스 엔지니어 이근제) 운영업무를 많이 담당하면서 힘들지는 않지만 필요한 업무는 좀 있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이제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리소스가 여러 계정, 여러 환경에 걸쳐서 존재할 경우에는 그것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콘솔에 좀 반복적으로 로그인하는 것도 되게 좀 필요하거든요. 그리고 그런 리소스를 좀 정리를 해서 리포트도 작성을 해야 되는데, 이전에 있던 조직은 그런 노하우가 많이 쌓이지 않았던 조직 이어서 그런 부분이 약간 좀 많이 필요 했었습니다.

“클라우드 관리 꿀팁”

백엔드 개발자 송지형) 딱히 어떤 지름길이 있거나 아니면 어떤 요행이 있거나 한다고 저는 생각하진 않고요, 대신에 이런 말도 있죠 ”고수는 연장을 탓하지 않는다” 라는 말처럼 클라우드를 관리하고 설계해야 되는 기술자 입장이라고 한다면 그에 맞는 어떤 경험이나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끊임없이 해나가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인 SpaceONE 개발의 주된 역할을 갖고 계신 두분의 이야기,

많은 도움이 되셨나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spaceone-support@mz.co.kr
 멀티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SpaceONE 구경가기)
 오픈소스 프로젝트 Cloudforet 공식 홈페이지 (클릭)